본문 바로가기

News/'착한 대리운전', 부산서 성공할 수 있을까?

'착한 대리운전', 부산서 성공할 수 있을까?



'착한 대리운전', 부산서 성공할 수 있을까?



▲  나누는 기분좋은 소비를 표방하는 ‘착한콜’이 12일 오후 부산진구 대한적십자사 부산지사에서 사회공헌 협약식을 맺고 있다. 이날 협약식에는 착한콜 운영사인 위드고의 김명진 부회장(오른쪽)과 김종렬 대한적십자사 부산시광역시 회장 등이 참석했다.
ⓒ 정민규

대리운전을 이용한 고객이 이용요금의 일정액을 자신이 지정한 단체나 공익캠페인에 기부하는 형태의 대리운전 업체가 문을 열었다. 이용요금 한 건당 500~700원을 기부하는 방식으로 광역 단위 대리운전에서는 처음으로 선보이는 형태다.  

'착한콜'이라 이름 붙여진 이 대리운전은 운전기사와 사회가 더불어 잘 사는 공존기업을 모토로 내걸었다. 수익의 20~30%(한 건당 500~700원)를 협약단체나 고객이 지정한 단체에 기부하고 운전기사와도 상생하는 구조를 찾겠다는 게 목표이다. 

이용방법은 간단하다. 소비자가 착한콜을 통해 대리운전을 이용할 때 특정단체에 대한 기부의사를 밝히면 해당 단체에 적립금이 쌓인다. 특별히 지정을 하지 않는다고 해도 공익캠페인에 자동으로 기부된다. 

공익캠페인을 펼치는 단체는 착한콜이 각 지역에서 소외계층에 대한 복지사업을 펼치는 곳을 우선 선정했다. 부산에서는 시민이 운영하는 복지법인 '우리마을', 경남에서는 '생명나눔재단'으로 기부가 된다. 

그 외 소비자가 기부의사를 밝힐 수 있는 곳은 점차 늘어가고 있다. 국제구호단체, 시민사회단체, 각 지역 학교, 노동단체, 종교, 정당들까지 기부 범위를 넓히고 있다. 출범 열흘이 조금 지났지만 부산대와 동아대 등 지역 주요 대학의 민주동문회와 노무현재단 등이 착한콜과 협약을 맺거나 협약을 추진중이다. 착한콜과 협약이 되어있는 학교의 졸업생이라면 자신의 모교에 직접 기부를 할 수도 있는 셈이다. 

"기부 문화 바꾸는 계기 될 것"... 2015년 전국 진출 계획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 하루 2만 명이 이용할 경우 1천만 원을 매일 기부할 수 있다는 게 착한콜의 계산이다. 착한콜은 이런식의 기부 문화가 자연스러운 선진국형 기부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정한섭 착한콜 총괄이사는 "착한콜이 기부와 관련한 문화를 바꾸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동시에 착한콜은 낮은 기사들의 처우 개선에도  기여할 방안을 찾고 있다. 지난달 국토교통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가용 자동차 대리운전 실태조사 및 정책연구' 보고서 등을 살펴보면 전국에 등록된 3851개의 대리운전 업체에는 약 8만 7천여 명의 운전기사가 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 규모만 최소 1조 원에서 최대 3조 원으로 잡히지만 상대적 약자인 운전기사들은 업체의 과도한 수수료와 소비자와의 요금 시비 등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착한콜은 마진을 조정하고 출근비와 보험료를 개편하는 등의 노력으로 운전기사와 상생하는 구조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이를 통해 좋은 이미지를 확산하고 고객과 운전기사들의 호감을 산 후 서비스질도 높여나가겠다는 게 착한콜이 바라는 선순환 구조의 핵심이다. 

부산을 시작으로 2015년에는 수도권을 비롯한 대구, 광주, 충청 지역에도 진출하겠다는 야심찬 꿈도 꾸고 있다. 기부를 받는 단체의 입장에서도 착한콜이 추구하는 방식은 호기심을 끄는 방식이다. 12일 착한콜과 협약식을 맺은 대한적십자사 부산지사는 기부문화 확산을 통한 지역 사회 상생에 의미를 부여했다. 

강완중 대한적십자사 부산지사 사회협력팀장은 "대기업이 적은 부산은 다른 시도에 비해서도 기부 규모가 작은 편"이라며 "이런 형태의 기부가 정착되면 더 많은 대상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고 다양한 사업을 발굴해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